[경기경제신문] 경기도교육청 학생건강증진센터(센터장 전은경)가 주관하고 생명윤리·성교육 전문기관 '가드너스 협회'와 협력하여 진행된 '2025 찾아가는 건강증진체험 성 교육 프로그램'이 11월 18일 광주 '초월초등학교'에서 뜨거운 호응 속에 성료됐다.
단순 주입식 교육을 넘어 첨단 에듀테크 기반의 맞춤형 체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미래형 성품 교육의 모범 사례를 제시했다는 평가다.
이날 행사는 초월초 실내체육관에서 전 학년 1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가드너스 협회 전문 강사진의 탁월한 기획과 실행력으로 교육의 질을 한층 높였다.
특히, 가드너스 협회의 핵심 교육 주제인 '성(性) 교육'이 아닌 '성품(性品) 교육'의 철학이 체험 프로그램 전반에 녹아들어 학생들의 건강한 성의식 함양에 크게 기여했다는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가드너스 협회가 선보인 '체험형 성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혁신적인 콘텐츠로 구성되어 교육 효과를 극대화했다.
학생들은 ▲생명의 시작(염색체 키링, 사진 부착 등) ▲생명의 탄생(임신복 체험 및 보드게임 미션) ▲생명의 돌봄(AI 로봇 아기 돌보기) 필수 체험과 ▲중독예방부스,(음주, 저학년) ▲ 사춘기 레벨UP(고학년) 선택 체험등 4가지 부스를 경험했다. 모든 활동은 '아기수첩' 에 직접 기록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했다.
생명의 시작 체험은 X-Y염색체 키링 만들기, 스티커 사진을 찍어 아기수첩 엄마 뱃속 그림에 사진부착하기 등을 통해 생명의 시작이 특별하고 소중한 과정임을 인식시켰다.
임신·출산 체험은 체육관 바닥에 보드게임 표를 결혼부터 출산까지 태아가 자라나는 10개월의 과정으로 표현 했으며 중간 중간에 윗몸일으키기, 제기차기, 코키리코 10번돌기, 임신복 입고 체험하기등의 칸을 만들어 학생들이 주사위를 던질때마다 해당게임의 칸에 도달하면 다같이 즐겁게 미션을 수행하며 열달 동안 자신을 키워낸 어머니의 노고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생명의 소중함과 가족에 대한 감사함을 느꼈다.
생명의돌봄 체험은 로봇 AI 아기(신생아 돌보기)를 안고 우유 먹이기, 달래기, 기저귀 갈아주기 등의 활동과 아기 이름 짓기등을 통해 신생아의 특성을 이해하고 양육의 책임감과 생명의 소중함을 직접 체험했다.
선택 체험으로 종독예방부스(음주)는 저학년 위주 교육으로 음주체험 고글안경을 끼고 컵쌓기, 꼬깔사이로 바르게 걷기등의 활동을 통해 중독의 위험성을 몸소 깨닫게 했다.
고학년 학생은 사춘기 레벨UP 교육으로 기쁨·슬픔·까칠·버럭·소심 5가지 감정을 주제로 학생들을 5개그룹으로 나누어 사춘기 하면 떠오른것, 봄이오면 생각나는것등 퀴즈를 문제뽑기를 통해 해결하면서 사춘기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유쾌하게 학습했다.
이상욱 초월초등학교 교장은 "참여형 체험부스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성에 대해 올바르고 안전하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며, "가드너스 협회와 같은 전문 기관과의 협력은 성교육이 발달 단계에 맞게 자연스럽게 진행되어야 한다는 저의 교육 철학과 일치한다"고 높이 평가했다.
이번 행사를 성공적으로 이끈 가드너스 협회 나양란 대표는 "접근성이 낮은 학교 학생들에게도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이번 체험부스를 마련했다"며 그 의의를 밝혔다.
나양란 대표의 지도 아래 전문 강사진은 AI, 로봇 기반 교구 등 최신 에듀테크 기자재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학생들은 약 20분씩 4개의 부스를 로테이션 방식으로 체험하며, 기존 강의에서는 얻기 힘들었던 몸소 익히고 스스로 깨닫는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했다.
나양란 대표는 "학생들이 체험 활동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훌륭한 체험형 성품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가드너스 협회는 이번 초월초 사례를 통해 생명윤리 및 성품 교육 분야에서 그 전문성과 혁신적인 교육 모델을 다시 한번 입증하며, 미래 세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필수 교육기관으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경기도교육청이 「경기도교육청 학생건강증진 조례」 등에 근거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가드너스 협회'는 이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교육 모델 정착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