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경제신문] 경기도교육청 학생건강증진센터(센터장 전은경)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협력하여 기획한 '2025 찾아가는 학생건강증진센터 성교육 체험 프로그램''이 '용인 성지초등학교'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되며 미래 성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이날 행사는 '생각하는 힘, 소통하는 힘, 함께 살아가는 힘'을 키워가는 성지초등학교 다목적실에서 11월 19일 전교생 50명을 대상으로 펼쳐졌다. 단순한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AI 등 최신 에듀테크 기자재가 투입된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도를 극대화하며, 생명의 숭고함과 가족의 진정한 의미를 체득하게 했다는 평가다.
'체험형 성교육 프로그램' 은 ▲생명의 탄생 (뱃속궁궐) ▲임신과 출산 (임신체험복) ▲ AI 신생아 돌보기 체험과 ▲생명 나무에 인간 존중 카드 달기 ▲ 즉석 사진찍기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특히 이번 교육의 성공은 성지초 보건교사의 세심한 기획과 아주대 강사진의 전문성이 결합된 결과로 평가된다. 성지초 보건교사는 교육 일정에 맞춰 학부모들에게 사전 설문(태명, 부모님이 나를 품었을 때의 마음 등)을 진행하여 그 내용을 체험장 입구에 전시했다.
학생들은 체험을 시작하기 전 부모님의 깊은 사랑을 직접 확인하고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입장했다. 아주대 산학협력단 강사진은 이 사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가족 배경을 반영한 개별 맞춤형 교육을 진행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했다.
강의식으로 전달하기 어려웠던 성교육의 핵심 내용들을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눈높이에 맞춰 설명하고 직접 체험해보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도를 크게 높였다는 평가다. 이는 단순 지식 교육을 넘어 '생각하는 힘, 소통하는 힘, 함께 살아가는 힘'을 키우는 '성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를 성교육에 완벽히 녹여낸 훌륭한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체험은 학생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4학년 학생은 신생아 돌보기 체험 후, "생각했던 것보다 아기가 너무 무거워서 우리 엄마가 나를 안고 우유 먹이고 목욕시키며 얼마나 힘드셨을까 생각했어요. 엄마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어요."라며 부모님에 대한 깊은 공감을 표현했다.
또한 6학년 학생은 오늘 체험으로 “아빠가 되면 아기를 아주 잘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이 생겼어요. 아기는 단순히 귀엽다고만 생각했는데, 나도 커서 우리 부모님이 해주신 것처럼 사랑과 책임감으로 우리 아기를 돌보는 멋진 아빠가 되겠다고 생각했어요."라고 밝혀, 성(性)과 생명에 대한 책임감 있는 미래 설계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체험형 성교육은 실질적인 역할 공감을 통해 교육 효과를 극대화했다.
박연실 성지초등학교 교장은 "우리 성지초등학교는 모든 학생이 스스로 즐겁게 배우고 함께 성장하며, 삶을 살아가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모든 교직원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성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이 자신의 소중함을 깨닫고, 올바른 신체 인식을 형성하며, 위험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을 높이는 뜻깊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그램을 설계한 아주대학교 간호학과 부선주 교수는 "올바른 성교육은 지식 전달을 넘어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하는 과정을 지원하는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번 아주대 산학협력단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체험형 성교육 모델을 지속 가능한 교육 모델로 정착시켜, 미래 세대의 건강하고 바른 가치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