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경제신문】수원화성박물관이 지난해 11월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24호로 지정된 "조선경국전" (朝鮮經國典)을 6일부터 2월 9일까지 시민들에게 공개한다.
수원화성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경국" 은 독립 형태 간행본으로 현재까지 전해지는 국내 유일본이다.
박물관은 2013년 문화재 지정 신청을 하고, 2014년에는 ‘삼봉 정도전과 조선경국전’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하며 "조선경국전" 의 가치를 알렸다. 문화재청은 몇 차례 실사를 거쳐 보물 지정을 확정했다.
"조선경국전" 은 조선 개국공신인 정도전(1342~1398)이 1394년 태조에게 지어 올린 사찬(私撰) 법전이다. 국가 운영 요체를 담은 ‘조선왕조의 헌법’이라 할 수 있는 책이다.
관제·군사·호적·경리·농상 등 각 분야의 제도를 기술해 조선의 건국 이념,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
"조선경국전" 은 「경제육전」(개국 초 반포된 공식 법전)(1397, 1412년), "육전등록" (1426년)의 토대가 됐다. 또 조선의 기본 법전이자 국가운영서인 "경국대전" (1485년)의 모체가 됐다.
태조는 "조선경국전" 을 지은 공로를 인정해 정도전에게 ‘유학으로도 으뜸, 나라를 일으킨 공으로도 으뜸’이라는 의미의 ‘유종공종(儒宗功宗)’이라는 글을 써 하사하기도 했다.
수원화성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경국전" 은 목판 인쇄한 조선 초기 판본이며 1책 79장 158면으로 이뤄져 있다.
일부분 훼손돼 개장(改裝)했지만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전문(箋文)이 3장인데 1장이 결락(缺落)됐다. 원본은 80장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전시회에는 "경국대전" , 정조대왕의 국정개혁 요체인 "대전통편" , 고종 대에 편찬된 "대전회통" 등 조선 시대 주요 법전이 함께 전시된다. 문의 : 031-228-4219, 수원화성박물관